자기계발/관계

무의식적으로 생각하는 잘못된 생각들 - 인지적 오류

스스배 2023. 9. 5. 17:32

① 전부 아니면 아무 것도 아니라는 생각 (All-or-Nothing thinking)

어떤 상황에 대해 연속선상에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극단적인 쪽으로 바라보는 것. (예) 만약 내 아이가 나쁜 일을 한다면 그건 내가 나쁜 부모이기 때문이다.

 

② 재난화 시킴 (Catastrophizing)

미래에 대해 부정적인 예측만 한다. (예) 기말 고사를 망치면 내 인생은 끝이야.

 

③ 긍정적인 것들을 무효화시키거나 중단한다. (Disqualifying or discontinuing the positive)

스스로에게 자신에게 일어난 좋은 일들은 인정할 수 없다고 한다. (예) 내 딸이 자기 친구에게 내가 세상에서 가장 최고인 아빠라고 말했다고 하지만, 나는 딸이 그냥 친절하게 인사 치례로 말 한거라고 확신해.

 

④ 정서적인 합리화 (Emotional Reasoning)

한 사람의 어떤 것에 대한 느낌이 이와 반대가 되는 사실을 제압하도록 하는 것이다, (예) 스티브가 매일 지각하기는 하지만, 나는 내가 여기 있는 누구보다 일을 열심히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.

 

⑤ 꼬리표 붙이기 (Labeling)

어떤 사람이나 물건에 그들에 대해 더 알아보지도 않고 꼬리를 붙이거나 판단하는 것. (예) 내 딸은 내가 허락하지 않는 건 절대 하지 않을 거야.

 

⑥ 과장/축소 (Magnification/Minimization)

상황의 부정적인 것을 강조하거나 긍정적인 것을 축소시킨다. (예) 우리 교수님이 내 리포트를 좀 고쳤다고 했으니, 난 그 과목 점수는 망했어. 재수강해야 할거야.

 

⑦ 마음의 필터 / 좁은 시야 (Mental Filter / Tunnel Vision)

어떤 상황에 대해 그 사람의 모든 관심을 쏟아 붓거나 부정적인 것만을 보는 것. (예) 남편이 내가 집안 관리를 좀 더 잘했으면 좋겠다고 했으니 난 틀림없이 불쾌하고 지겨운 아내일거야.

 

⑧ 마음 읽기 (Mind Reading)

다른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다 안다고 믿는 것 (예) 친구들이 왔을 때 집이 지저분했으니 그들이 나를 얼간이라고 생각하는 거 다 알아. (예) 내 딸의 남자 친구가 학교에서 정학 당했다는 걸 보니 그 놈은 머저리고 무가치한 놈이야.

 

⑨ 과잉 일반화 (Overgeneralization)

현재 상황 외에도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결론을 내리는 것 (예) 오늘 저녁에는 남편이 퇴근할 때 나에게 키스를 안 해준 걸 보니 아마 더 이상 나를 사랑하지 않을 거야.

 

⑩ 주관화 (Personalization)

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행동이 자신과 어떤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. (예) 내 딸이 요즘 조용한데 내가 그 아이에게 뭔가 기분 나쁜 일을 한 거 같아.

 

⑪ 꼭 ~ 해야만 한다 의 문장 사용 (“Should” and “Must” statements)

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확실한 생각이 있는 것. (예) 나는 좋은 학생이 되기 위해서는 전부 A를 받아야만 한다.